사용하던 폰의 약정이 끝나 저렴한 요금제를 찾다가 알뜰폰의 요금제가 눈에 들어와 바꾸기로 합니다. 그런데 너무 많은 알뜰폰 업체 중에 어떤 회사와 어떤 요금제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다가 찾아보고 가입한 내용입니다. 업체에서 어떠한 지원도 받은 것 없이 내돈내산으로 본인의 경험만으로 작성합니다.
알뜰폰을 찾게 된 계기
기존에 쓰던 폰의 약정이 만료되어 폰을 바꿀까 하다가 상태가 너무 좋아 당분간 계속 쓰기로 했는데 가입되어 있는 요금제가 문제였습니다. 갤럭시 z플립 이었는데 사실 바꾸면 사용하던 앱들도 다시 가입해야 하고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어서 요금제만 바꿔서 쓰려니 데이터 무제한이 필요했던 나로선 기존 통신사의 요금제가 너무 아깝게 느껴집니다.
기존 사용하던 통신사는 KT였고 쓰던 요금제는 69000원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였는데 무제한은 필요했지만 사실 한달에 100기가를 다 사용하지도 않았기에 낮은 요금제를 보니 선택 약정을 해도 3-4만 원은 내야 하고 해서 알뜰폰 요금제를 검색해 봅니다.
알뜰폰의 장단점
사실 알뜰폰을 쓰는 가장 큰 이유는 저렴한 요금제 때문입니다. 1만원대에서도 속도제한이 있기는 하지만 무제한 요금제가 존재하고 통신망이야 기존 대형 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하는 거니 품질도 차이가 없을 겁니다. 게다가 인터넷 본인인증의 문제도 지금은 해결되어 인증에 불편함도 없습니다.
다만, 대형 통신사의 장점인 편리한 고객센터와 멤버십서비스의 아쉬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형 통신사를 써도 2년 내내 고객센터와 통화할 일이 없었고 개인적으로는 멤버십 서비스도 1년에 한두 번 영화 보러 갈 때 쓴 거 말고는 그다지 잘 사용하지도 않기에 과감히 알뜰폰으로 바꾸게 됩니다.
kt m 모바일 가입 이유 및 요금제
알뜰폰을 운영하는 회사는 70여개 가까이나 있다고 합니다. 워낙 많은 업체들이 있다 보니 어떤 회사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었는데 그중에서 일단 많이 들어본 업체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기존에 사용하던 통신사가 KT이다 보니 LG 하고는 호환이 되지 않는다고 하여 KT나 SK 통신망을 사용하는 업체를 택해야 해서 그냥 KT 통신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업체를 선택한 것이 KT m 모바일입니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요금제는 통화와 문자는 무제한이고 데이터는 기본으로 일정량만 주어지고 나머지는 속도제한이 있더라도 무제한으로 되는 것이었습니다. 요금제를 찾다보니 알뜰폰 업체들이 대부분 제공하는 요금제 중에 데이터 7기가에 소진 시 1 Mbps로 무제한 요금제가 있습니다. 여러 업체의 요금제를 비교하니 kt m 모바일이 17500원으로 가장 저렴합니다.
통화 품질 및 데이터 품질
이 요금제에 가입하고 사용하다보니 통화 품질은 전혀 기존 통신사와의 차이점을 느낄 수가 없습니다. 데이터의 경우 한 달에 주어지는 7기가를 다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고 다 사용하더라도 본인 패턴상 큰 불편함은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소진 시에 주어지는 1 Mbps의 속도는 유튜브에서 360p 정도 화질의 동영상을 보는데 크게 불편하지 않습니다. 물론 화질이 480p 이상 올라가면 끊기기는 합니다. 로딩 시간이 추가되는 것이죠. 다른 카톡이나 SNS는 전혀 문제없습니다.
가입 절차
1. 유심의 구입
먼저 유심을 구입해야 합니다. 유심은 오프라인에서는 편의점에서 구입할 수 있고 kt m 모바일 홈페이지나 옥션이나 지마켓같은 오픈마켓에서도 구매가 가능합니다. 저는 홈페이지에서 구입하였습니다. 홈페이지에서 구입하면 서울지역은 퀵서비스로 당일 배송하고 그 외 지역은 택배로 익일 배송합니다. 배송비는 무료입니다.
2. 홈페이지 개통
유심을 받았다면 일단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합니다. 그리고 셀프 개통 메뉴로 들어가서 개통을 진행하면 되는데 여기서 '신규가입'이나 '번호이동'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 기입해야 할 내용들을 기입하고 신청하면 개통 절차가 끝나게 됩니다. 여러가지를 기입해야 하는데 어렵지 않습니다.
홈페이지에서 개통 신청까지 마쳤으면 받은 유심을 폰에 넣고 몇번 껐다 켜면 실제 개통까지 끝나게 됩니다. 오프라인 대리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되니 매우 편리하게 느껴집니다. 번호이동이라면 기존 통신사에서 미청구된 요금은 새 통신사의 요금에 합하여 청구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돈이 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례보금자리론 연 3.25%, 오늘부터 접수.. 대상 (0) | 2023.01.30 |
---|---|
KB 플러스 전세 자금 대출, 자격 요건과 한도, 금리까지 정리 (0) | 2022.12.01 |
사업소득과 기타소득 그 차이를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0) | 2022.07.01 |
댓글